본문 바로가기
세계사

캄보디아의 기본 - 자연 및 지형

by 박스피군 2022. 7. 13.

캄보디아의 주변국 및 자연환경
출처 : 두산지식백과


캄보디아의 환경문제는 급속한 경제개발, 도시화 등으로 인해 1990년대 부터 그 심각성이 대두되었다. 산림파괴, 육상 및 수상 생태계 훼손,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생활ㆍ산업 폐기물과 산업폐수 및 생활하수가 급증하기 시작했다. 

1. 자연환경 현황 (Natural Environment Status)
캄보디아(Cambodia)는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 남서쪽에 위치한 국가이며 본토 외에도 크고 작은 60개의 섬이 있다. 남서부는 시암만과 접한 해안지역이지만, 태국, 라오스, 베트남과 국경을 접하는 서부·북부·동부는 산지가 펼쳐져 있고 중앙부에는 메콩강이 흐르는 충적평원이 있어 캄보디아의 지형을 그릇 모양으로 설명하곤 한다.

캄보디아의 서남부쪽 태국과 맞닿아있는 국경부터 베트남과의 경계 근처까지 카다멈 산맥(Cardamom Mountains)과 덤레이 산맥(Dâmrei Mountains) 이 지난다. 카다멈 산맥은 1,500m 내외의 상대적으로 높은 산지를 형성하며 담레이 산맥은 그보다 다소 낮은 1,000m 내외의 고지를 이룬다. 카다멈 산맥에는 캄보디아의 유명한 최고봉인 아오랄 산(Phnom Aural, 1,810m)이 있다. 북부 지역에는 평균 500m 내외인 덩렉 산맥(Dângrêk Range)이 자연적으로 태국과의 경계를 만들어낸다. 동북부에는 라오스와 베트남과의 경계를 이루는 안남산맥(Annamite Range)이 지난다.

북쪽 라오스를 통해 캄보디아에 진입하여 남서부 베트남을 통해 빠져나가는 메콩강은 인도차이나 지역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하천이다. 메콩강과 더불어 톤레삽(Tonlé Sap)강도 캄보디아에서 매우 중요한 하천이다. 톤레삽강은 메콩강의 지류 중 하나로 거대한 호수인 톤레삽 호수를 만들어낸다. 이 강과 호수는 우기와 건기, 메콩강의 유량에 따라 방향과 크기가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우기가 시작되는 5월 이후에는 메콩강의 유량이 늘어나 톤레삽호의 면적이 넓어진다. 우기가 끝나는 11월엔 유량의 흐름이 바뀌어 톤레삽 호수의 강물이 메콩강 방향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우기에 톤레삽 호수의 면적은 16,000㎢에 달해 한국의 강원도 면적에 필적하지만 건기에는 3,000㎢정도로 줄어든다.

남서쪽 해안은 얕은 편이며 맹그로브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캄보디아의 맹그로브 해안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다양성이 높으며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기능한다.

 

캄보디아의 평원은 북쪽으로는 단그렉(Dangrek) 산맥과 서쪽으로 카르다몬(Cardamom)산맥으로 
둘러싸여져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산림 및 산악 지역으로 이루어진 이스턴 하이랜드(Eastern Highlands)까지 평야가 뻗어 있다. 동쪽으로는 베트남 센트럴 하이랜드(Central Highlands)와 
남쪽에 라오스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국가 면적은 총 1,810만 헥타르이며 산림지역은 그 중 43%에 이른다.

 

캄보디아는 계절성 열대우림으로 이루어진 넓은 산림면적, 메콩강과 톤레삽 호수의 독특한 수문환경, 남서부 해안의 맹그로브 숲을 가지고 있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톤레삽 호수 주변의 생태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지만 개발로 인한 산림면적 감소, 이로 인한 환경파괴는 캄보디아의 본 생태적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

국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절반이 넘는 산림지역(56.5%)이다. 32.1%가 농지이며, 나머지 11.4%는 도시와 도로, 불모지 등이다. 캄보디아는 라오스와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냉전 시기 대립이 약화되고 자본주의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 급격한 시대 변화를 겪어왔다. 산림의 경우 1990년 전만 하여도 국토의 73.3%를 차지하였으나, 2018년 기준으로 56.5%로 많은량의 산림면적이 감소하였다. 산림은 서부 산지와 동북부를 중심으로 주로 분포하며, 2018년 기준, 농지는 전국토의 32.1%를 차지하며, 이 중에 경작지가 22.7%, 수목농업 지역이 약 10%를 차지하였다. 경작지의 대부분은 쌀 재배에 사용되며 주로 톤레삽강의 주변과 메콩강 하류 일대를 중심으로 서북-동남 방향으로 분포한다. 톤레삽 유역 주변은 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헥타르당 1톤(t) 이상의 쌀을 생산하며, 지역에 따라 건기와 우기에 서로 다른 품종을 재배하면서 이모작을 일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 전체의 쌀 생산량은 아시아에서 가장 낮은 편이다.

주된 상업 작물로 고무나무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외에 사탕수수, 면화, 담배 등이 재배된다. 저지대 평야 지역을 따라 농업이 발달하고 도시가 형성됐으며, 이곳에 인구가 집중돼 있다.

캄보디아의 토양은 주로 사질 토양인데 이는 중생대 사암 등 석영질 암석이 주를 이루는 캄보디아의 지질 구조에서 주로 기인하였다. 이러한 토성 특징과 함께 많은 강수량, 집약적 토지이용 등으로 인해 캄보디아 토양의 생산성은 대체로 낮은 편이며 알루미늄 누적 등의 토지황폐화 문제를 겪고 있다.

 

국토 면적의 절반을 넘는 산림은 최근 산림 벌채와 농업지역 확장을 위해 파괴되고 있으며, 일부 산림은 고무나무 등의 상품작물 위주로 단순화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생태적인 위기를 초래할 수 있으며 홍수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거나 토양의 침식과 토지황폐화를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토사와 유기물 유출로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 문제는 국토의 토지생산성을 떨어트려 다시 파괴면적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캄보디아 정부와 국제사회에서는 산림보호와 산림면적 유지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고온 다습한 열대몬순 기후가 나타나는 지역으로 대개의 동남아시아의 국가가 그렇듯 계절풍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연평균 기온이 섭씨 27℃를 넘을 정도로 더우며 주 계절은 건기와 우기로 나뉜다. 지역별로 약간의 시기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1월부터 건기가 시작되며 12~1월까지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은 시기를 보낸다. 우기는 보통 하루에 한두 차례 스콜이 쏟아지며, 가끔씩 장시간 동안 비가 내릴 때가 있다. 우기는 10월까지 계속되다가 11월 경이 되면 건기로 다시 계절이 바뀐다.

캄보디아의 가장 더운 달의 평균기온은 30℃에 육박하며, 더울 때 일부 지역에서는 38℃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기도 한다. 가장 더운 달은 대개 4월이다. 가장 추운 달의 평균기온은 26℃ 수준이며, 아주 드물게 20℃ 이하로 떨어질 때가 있다. 가장 추운 달은 대개 12월과 1월이다.

캄보디아의 계절풍 기후로 인한 집중호우는 홍수의 위험을 높인다. 특히 캄보디아의 지형 수문적 특성에 따른 주기적인 범람이 제어되지 않는 경우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간헐적인 가뭄 또한 이 지역의 삶의 위협을 줄 수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는 캄보디아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생업과 생활의 근간이 되는 계절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일례로 2019년에는 우기가 예년에 비해 늦게 시작됐을 뿐더러 우기 동안에도 비가 별로 오지 않아 농사를 짓는데 어려움을 겪고 여러 피해를 겪었다.

중국과 라오스에서 메콩강 중·상류에 무분별하게 댐을 건설하는 것은 캄보디아는 물론 메콩강 주변 국가 모두에게 커다란 이슈이다. 댐 방류로 인해 하류에서 범람이 일어나 마을이 위험에 처하거나, 토양 비옥도가 저하돼 농사에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또한 어자원이 감소해 생계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연쇄적으로 생태계가 파괴됨으로써 생물다양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메콩강위원회(Mekong River Commission)의 예상에 따르면 2040년까지 메콩강 하류 유역의 물고기 양은 40~80%, 퇴적물은 67~97%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캄보디아의 기본 - 위치와 경제  (0) 2022.07.08
캄보디아의 역사 - 인구편  (0) 2022.07.02

댓글